티스토리 뷰
목차
2025년 노인장기요양보험에서 재가급여는 어르신이 가정에서 일상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비스입니다. 주요 재가급여 서비스와 그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방문요양: 요양보호사가 가정을 방문하여 신체활동 및 가사 지원을 제공합니다.
방문목욕: 전문 장비를 이용하여 가정에서 목욕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방문간호: 간호사가 가정을 방문하여 의료적 처치와 건강 관리를 지원합니다.
주야간보호: 주간 또는 야간 동안 보호시설에서 돌봄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단기보호: 일정 기간 동안 시설에서 숙식을 제공하며 돌봄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재가급여를 이용할 때는 등급별로 월 한도액이 정해져 있으며, 이를 초과하는 서비스 이용 시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2025년 기준 등급별 월 한도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 등급 | 2024년 한도금액 | 2025년 한도금액 | 인상금액 |
| 1등급 | 2,069,900원 | 2,306,400원 | +236,500원 |
| 2등급 | 1,869,600원 | 2,083,400원 | +213,800원 |
| 3등급 | 1,455,800원 | 1,485,700원 | +29,900원 |
| 4등급 | 1,341,800원 | 1,370,600원 | +28,800원 |
| 5등급 | 1,151,600원 | 1,177,000원 | +25,400원 |
| 인지지원등급 | 643,700원 | 657,400원 | +13,700원 |
또한, 2025년에는 장기요양 수가가 평균 3.93% 인상되었습니다. 급여 유형별 인상률은 다음과 같습니다:
요양시설: 7.37%
공동생활가정: 2.07%
주야간보호: 2.12%
단기보호: 2.08%
방문요양: 1.89%
방문목욕: 2.14%
방문간호: 2.34%
또한 2025년 장기요양보험의 재가급여(방문요양, 방문목욕, 방문간호 등) 이용 시 시간당 비용과 본인부담금은 다음과 같습니다.
| 2025년 방문요양 시간당 비용 및 본인부담금 | (단위: 원) | |||
| 이용시간 | 총 비용 (공단+본인) | 일반 본인부담금 (15%) | 감경대상 (9%) | 기초생활수급자 (0%) |
| 30분 | 16,140 | 2,420 | 1,450 | 0 |
| 60분 | 25,320 | 3,800 | 2,280 | 0 |
| 90분 | 34,510 | 5,180 | 3,100 | 0 |
| 120분 | 44,640 | 6,700 | 4,020 | 0 |
| 150분 | 51,690 | 7,750 | 4,650 | 0 |
| 180분 | 58,740 | 8,810 | 5,290 | 0 |
본인부담금 계산 예시
예를 들어, 하루 3시간(180분) 방문요양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총 비용: 58,740원
일반 본인부담금(15%): 8,810원
감경대상(9%): 5,290원
기초생활수급자: 0원(면제)
한달동안 이용한 시간에 따른 비용을 부담한다.
| 2025년 방문목욕 비용 및 본인부담금 | (단위: 원) | |||
| 서비스 유형 | 총 비용 | 일반 본인부담금 (15%) | 감경대상 (9%) | 기초생활수급자 (0%) |
| 차량 이용 | 87,320 | 13,100 | 7,860 | 0 |
| 욕조 이용 | 79,010 | 11,850 | 7,110 | 0 |
| 2025년 방문간호 비용 및 본인부담금 | (단위: 원) | |||
| 서비스 유형 | 총 비용 | 일반 본인부담금(15%) | 감경대상 (9%) | 기초생활수급자 (0%) |
| 의사 지시 방문 | 87,660 | 13,150 | 7,890 | 0 |
| 간호사 방문 | 81,320 | 12,200 | 7,890 | 0 |
참고사항
본인부담금은 등급과 소득수준에 따라 다릅니다.
본인부담금 감경 혜택은 국민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등에 적용됩니다.
이용 한도액을 초과하면 초과 비용은 전액 본인 부담입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국민건강보험공단 (☎ 1577-1000) 또는 노인장기요양보험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