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치매 환자를 위한 수명 연명 치료: 확인 사항
치매의 말기 단계에서는 신체적‧정서적‧의료적 변화가 복합적으로 나타나며, 가족과 간병인에게 중요한 결정의 순간이 찾아옵니다. 이 시기의 치료 목표는 고통을 줄이고, dignity(존엄성)을 지키며, 편안함을 최우선으로 하는 것입니다. 아래에 기대할 사항과 준비해야 할 부분을 정리했습니다.
1. 말기 치매에서 나타날 수 있는 변화
✔ 신체적 변화
- 식욕·음수량의 감소
- 삼킴 곤란(연하 장애)
- 체중 감소 및 쇠약
- 활동량 감소, 대부분의 시간을 누워 지내는 형태
- 호흡 패턴 변화(빠르게-느리게 반복, pause 있음)
✔ 인지·정서 변화
거의 대화가 어렵거나 단어를 알아듣기 어려움
- 주변 반응 저하
- 감정 표현 감소
- 수면 증가
✔ 통증 또는 불편함의 증가 가능성
- 근육 경직
- 욕창 위험 증가
- 감염(폐렴, 요로감염) 가능성 증가
2. 말기치료(End-of-life care)의 핵심 목표
🌿 1) 편안함 제공(Comfort care)
증상을 최소화하고 환자가 최대한 편안하게 지낼 수 있도록 함
- 통증 관리
- 호흡 곤란 완화
- 불안‧초조 감소
- 수면 환경 개선
🌿 2) 인위적 연명치료 최소화
말기 치매에서 연명치료가 회복에 도움이 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선택을 재검토함
- 인공 영양(위관/정맥) 여부
- 심폐소생술(CPR) 여부
- 병원 입원보다는 가정이나 호스피스 이용 선택
🌿 3) 존엄성 유지
- 옷, 모양, 침구 정돈
- 가족이 원할 때 조용한 시간 유지
- 환자가 좋아하던 음악, 향, 분위기 조성
3. 가족이 준비해야 할 사항
✔ 의료적 결정
- 연명치료 여부에 대해 사전에 문서화(사전연명의료의향서, 연명의료계획서)
- 담당의·호스피스 팀과의 의사소통
- 통증관리 계획 협의
✔ 환경 조성
- 조용하고 안전한 공간
- 자극은 최소화하고 조명은 부드럽게
- 익숙한 물건(사진, 담요, 좋아하던 음악) 배치
✔ 정서적 지지
- 손 잡기, 말 걸기 등 안정감 제공
- 말을 이해하지 못해도 평온한 목소리가 도움이 됨
- 가족들 간의 감정 공유와 슬픔 준비(anticipatory grief)
4. 호스피스·완화의료가 제공하는 지원
🩺 의료적 지원
- 통증·호흡 문제 관리
- 욕창 예방
- 감염 관리
- 24시간 상담 지원
💛 정서적·심리적 지원
- 환자와 가족의 슬픔 대비
- 간병으로 인한 스트레스 관리
- 임종 직후 절차 안내
🧭 사회적 지원
- 돌봄 도우미
- 가정 방문 간호
- 비용·제도 상담
5. 가족이 느낄 수 있는 감정과 대응
✔ 자책감
→ 모든 선택이 “최선”일 수는 없음. 전문가 상담이 도움됨.
✔ 슬픔과 상실감
→ 미리 준비하는 과정에서 정서적 지지가 필요.
✔ 무력감
→ 호스피스팀·간호사·상담가의 도움을 받아 부담을 나누기.
6. 마지막 순간에 보통 나타나는 모습
- 호흡 간격이 길어짐
- 의식이 흐려지고 깊은 잠과 비슷한 상태
- 차가워지는 말단 부위
- 음식 섭취 거의 없음
이는 자연스러운 과정이며, 대부분 고통 없이 평온하게 이루어집니다.
7. 가족에게 전하고 싶은 메시지
당신이 해온 돌봄은 이미 충분히 헌신적입니다.
환자는 말하지 못해도 당신의 존재를 느낍니다.
마지막 순간에 필요한 것은 기술적인 치료보다 사랑과 안정감입니다.